본문 바로가기
정보

2종 보통·소형 면허 갱신, 인터넷 신청 후 방문만 하면 끝!

by 퉁퉁퉁이 2025. 2. 28.

운전면허를 소지한 운전자라면 일정 기간이 지나면 면허 갱신이 필요합니다. 오늘 이야기는 2종면허 갱신방법에 대해 인터넷 접수와 방문 수령을 중심으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다 간편하게 갱신을 마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운전면허
운전면허


2종면허 갱신 대상 및 주기

2종 면허는 운전 가능 차량이 제한적이지만, 갱신이 필수적인 면허입니다. 갱신 시기를 놓치면 면허가 효력 정지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갱신해야 합니다.

갱신 대상

  • 2종 보통 및 2종 소형 면허 소지자
  • 면허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 갱신 필요

갱신 주기

  • 만 65세 미만: 10년마다 갱신
  • 만 65세 이상: 5년마다 갱신

갱신 기간 내에 갱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넷으로 면허 갱신 접수하는 방법

이제는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갱신 접수가 가능합니다. 면허시험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면허증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접수 절차

  1.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 접속 (https://www.safedriving.or.kr)
  2. 로그인 후 '운전면허증 갱신 신청' 메뉴 선택
  3. 본인 확인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 인증 등 가능)
  4. 신청서 작성 및 수령 장소 선택
  5. 수수료 결제 (7,500원)
  6. 신청 완료 후 지정한 장소에서 면허증 수령

방문 수령 방법 및 유의사항

인터넷으로 신청했다면 방문 수령이 필수입니다. 원하는 날짜에 직접 방문하여 수령하면 됩니다.

수령 가능 장소

  •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
  • 경찰서 (운전면허 관련 업무 가능 경찰서)
  • 민원24를 통해 선택한 장소

방문 시 준비물

  • 기존 운전면허증
  •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여권 등)
  • 접수증 (출력 또는 모바일 확인 가능)

방문 가능 시간

  •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 일부 시험장은 토요일도 운영 (사전 확인 필수)

면허 갱신 시 유의할 점

  • 유효기간이 지나면 과태료 발생 (최대 20만 원)
  • 면허증 분실 시 재발급 신청 후 갱신 가능
  • 갱신 대상자 안내 문자 미수신 시에도 직접 확인 필요
  • 신체검사 불필요 (1종 면허와 다름)
  • 대리 수령 불가, 반드시 본인이 직접 방문

결론

2종 면허 갱신은 인터넷으로 접수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방문 수령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미리 갱신 신청을 진행하면 불편함 없이 안전하게 면허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만료 기간을 확인하고 빠르게 인터넷으로 신청해 보세요!